728x90
반응형

 

1. 전에 설명했듯이 서버 인스턴스 사용자 계정(ubuntu)의 권한을 설정해준다.

sudo chown -R ubuntu *

 

2. openssh-server를 설치해주고, sshd 서비스를 실행해준다.

sudo apt-get install openssh-server & sudo service sshd start

 

3. ssh폴더로 이동하고, sshd config 파일을 수정해준다.

cd /etc/ssh/
vi sshd_config

 

4. 아래와 같이 설정해준다.

ClientAliveInterval 0
ClientAliveCountMax 0

ClientAliveInterval 60
ClientAliveCountMax 5

위와 같이 설정을 하게 되면 60초마다 클라이언트로부터 입력값이 없는지 확인하게 됩니다.

이 과정을 총 5번 하게 되는데 즉, 60 * 5 = 5분 후에는 연결이 끊기게 됩니다.

 

5. 이후에 :wq! 명령어로 파일을 저장후 나와서 ssh 서비스를 재시작합니다.

serivce sshd restart

 

 

6. VScode 파일 - 기본설정 - 설정에 들어가 다음과 같이 설정해준다. ( 시간은 원하는대로! )

 

7. 전전글에 써있던 대로 remote-ssh로 연결을 시도해보면 성공!

 

 

 

 

 

 

 

728x90
반응형

'Server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VScode 연결하기(2) - ssh-key  (0) 2021.09.10
AWS VScode 연결하기(1)  (0) 2021.09.10
AWS LightSail(2) - 고정 IP 만들어주기  (0) 2021.09.10
AWS LightSail(1) - 인스턴스 생성하기  (0) 2021.05.18
728x90
반응형

전 글에 이어서 사용자계정과 key 파일에 관하여 설명하겠다.

우분투 인스턴스를 만들면, root계정과 사용자 계정이 생기게 되는데, 사용자 계정을 여러개 만들고 계정에 따른

권한을 설정해줄 수 있다.

 

인스턴스를 VScode로 원격서버접속을 하게되면 당연히 권한이 제한되어 파일 수정, 저장이 불가능하게 된다.

때문에 인스턴스자체에서 사용자 계정에 권한을 부여해야한다.

또한 아무리 사용자 계정 이름과 IP주소를 안다 해도 아무 곳에서나 접속을 하면 안되기 때문에 이를 인증하기 위해

원격서버접속을 할 때 내가 인스턴스를 만든 사람이란걸 증명해야되는데 그 때 필요한 것이 ssh-key이다.

해당 리전에 대한 key가 있으면 되는데, 이 글은 Lightsail의 경우에 대해 설명하겠다.

 

1. 먼저 Lightsail 홈 상단에 계정-계정을 들어가준다.

 

2. ssh키 탭에 들어가서 인스턴스가 존재하는 리전의 key를 다운받아준다.

 

3. 그럼 이런식으로 생기게 되는데, 위 사진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ap-northeast-2) <-- 이 이름에 맞는 키 파일을 기억해둔다.

 

4. 현재 이 pem 파일은 초기 권한 설정이 되어있기 때문에 컴퓨터 사용자만 가능하게하도록 권한을 제한해야된다.

( 이 과정을 안해주면 연결을 할 시에 오류가 뜬다. )

 

5. pem파일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하고 속성-보안-고급을 눌러준다.

 

6. 그럼 이 탭이 뜨게 되는데,

  좌측 하단의 '상속 사용 안함'-> '이 개체에서 사용된 사용 권한을 모두 제거합니다.' 를 클릭한다.

 

7. 그 다음 좌측 하단의 "상속 사용 안함" 버튼위에 추가를 누르고 보안 주체를 선택해 컴퓨터 사용자의

    이름을 적고 (제어판에서 확인 가능) 확인 버튼을 누른다.

 

이상으로 키 파일을 다운받고 키 파일의 권한을 설정해주었다.

728x90
반응형

'Server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VScode 연결하기(3) - VScode  (0) 2021.09.10
AWS VScode 연결하기(1)  (0) 2021.09.10
AWS LightSail(2) - 고정 IP 만들어주기  (0) 2021.09.10
AWS LightSail(1) - 인스턴스 생성하기  (0) 2021.05.18
728x90
반응형

인스턴스를 VSCode 환경에서 개발하기 위해 연결해주는 방법이다.

이 방법으로 LightSail뿐만 아니라 다른 인스턴스들도 연결이 가능하다.

 

 

1. VScode를 실행하고 확장탭에서 remote-ssh를 설치한다.

 

2. F1을 누르고 >Remote-SSH:Connect to Host 를 클릭한다.

 

3. Add New SSH Host를 클릭한다.

 

4. ssh ubuntu@xx.xx.xx.xx 를 입력하고 엔터를 누른다.

  (이때 ubuntu는 인스턴스의 사용자계정 이름이며, 뒤에 붙는 xx.xx.xx.xx는 IP주소입니다.)

 

5. 그럼 이런 내용이 ~/.ssh/config 파일에 작성되게 되는데

  Host xx.xx.xx.xx

    HostName xx.xx.xx.xx

    User ubuntu

 

6. 이를 다음과 같은 형태로 바꿔준다.

  Host gs_blog

    HostName xx.xx.xx.xx

    User ubuntu

    Port 22

    IdentityFile C:\ssh\Soo\LightsailDefaultKey-ap-northeast-2.pem

 

7. 여기서 Host 는 연결할 때 사용할 이름, User는 위에 입력했던 우분투 인스턴스의 사용자계정, Port는 SSH가

    사용되는 포트, IdentityFile은 ssh-key가 저장된 주소이다.

 

 사용자계정 권한, ssh-key에 관한 내용은 다음글에서 다루도록 하겠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이어서 만들어보자!

 

인스턴스를 생성해주면 IP주소가 계속 바뀌게 되어있다.

이를 방지하기위해 고정 IP를 생성해주면 처음 정의했던 IP주소대로 계속 쓸 수 있다.

 

 

1. 전 시간에 만들었던 인스턴스의 이름을 클릭한다.

 

2.  네트워킹 탭에서 주황색 글씨의 고정 IP연결을 클릭하고 생성을 눌러준다.

 

 

3. 만들어 준 인스턴스를 클릭하고 고정 IP이름을 설정해주고  생성!!

4. 그럼 이렇게 고정 IP가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728x90
반응형

'Server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VScode 연결하기(3) - VScode  (0) 2021.09.10
AWS VScode 연결하기(2) - ssh-key  (0) 2021.09.10
AWS VScode 연결하기(1)  (0) 2021.09.10
AWS LightSail(1) - 인스턴스 생성하기  (0) 2021.05.18
728x90
반응형

정말 빠르게 AWS LightSail로 인스턴스를 만들어보자.

 

Lightsail에 관하여

https://lightsail.aws.amazon.com/ls/docs/ko_kr/all

 

 

1. aws 사이트에 회원가입, 로그인을 하고 Lightsail 서버를 찾아서 들어간다.

 

2. 인스턴스를 생성한다.

 

3. 원하는 리전을 선택한다.

※ 참고로 뭄바이는 다른 리전보다 느리다!! (이걸 모르고 회사에서 썼다가 애먹었다 ㅠㅠ)

 

4. 플랫폼을 선택한다. ( 저는 Linux Ubuntu 18.04 LTS 를 주로 사용했습니다. )

 

5. 가격을 선택한다. ( 물론 비쌀수록 더 성능이 좋습니다! )

 

6. 원하는 인스턴스 이름을 적고 생성해준다.

 

7. 생성하기 버튼을 누르면 끝!! ( 엄청 빠르다! )

  - 대기 중에서 조금 기다리시면 완료된다.

728x90
반응형

'Server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VScode 연결하기(3) - VScode  (0) 2021.09.10
AWS VScode 연결하기(2) - ssh-key  (0) 2021.09.10
AWS VScode 연결하기(1)  (0) 2021.09.10
AWS LightSail(2) - 고정 IP 만들어주기  (0) 2021.09.1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