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End/Spring Boot
Spring Boot | 지식 | IoC, DI, Container
개발자티포
2022. 8. 24. 14:35
728x90
반응형
1. IoC ( 제어의 역전 )
- AppConfig 파일을 만들면 프로그램의 흐름을 직접 구현되는 곳이 아닌 외부에서 설정해줄 수 있다.
- 이렇듯 외부에서 프로그램 제어 흐름을 제어하는 것을 제어의 역전이라 한다.
2. DI ( 의존관계 주입 )
- 정적인 클래스 의존 관계와, 실행 시점에 결정되는 동적인 객체(인스턴스)의 의존관계 둘을 분리해서 생각해야 한다.
- 정적인 클래스는 인터페이스를 의존한다.
-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점에 외부에서 실제 구현 객체를 생성하고 클라이언트에 전달해서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실제 의존관계가 연결되는 것을 의존관계 주입이라 한다. ( AppConfig 파일에서 사용 )
- 의존관계 주입을 사용하면 정적인 클래스 의존관계를 변경하지 않고, 동적인 객체 인스턴스 의존관계를 쉽게 변경할 수 있다.
3. 컨테이너
- AppConfig 처럼 객체를 생성하고 관리하면서 의존관계를 연결해 주는 것을 IoC 컨테이너 또는 DI 컨테이너라 한다.
4. 스프링 컨테이너
- ApplicationContext를 스프링 컨테이너라 한다.
- 스프링 컨테이너는 @Configration이 붙은 AppConfig 를 설정 정보로 사용한다.
- 스프링 컨테이너에 등록된 객체를 스프링 빈이라 한다.
- 스프링 빈은 @Bean이 붙은 메서드의 명을 이름으로 사용한다.
- applicationContext.getBean() 메서드로 빈을 찾을 수 있다.
728x90
반응형